2014-01-07 QT큐티체조

간단설명. 예수님은 낫기를 구하는 한 나병환자를 고치시고 그에게 아무 말도 하지 말라고 경고하신다. 하지만 그는 이 일을 널리 알리게 되고, 동네 밖에 머무시던 예수님을 사방에서 찾아온다.

성경본문. 마가복음 1:40-45
한글본문.
40한 나병환자가 예수께 와서 꿇어 엎드려 간구하여 이르되 원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나이다 41예수께서 불쌍히 여기사 손을 내밀어 그에게 대시며 이르시되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시니 42곧 나병이 그 사람에게서 떠나가고 깨끗하여진지라 43곧 보내시며 엄히 경고하사 44이르시되 삼가 아무에게 아무 말도 하지 말고 가서 네 몸을 제사장에게 보이고 네가 깨끗하게 되었으니 모세가 명한 것을 드려 그들에게 입증하라 하셨더라 45그러나 그 사람이 나가서 이 일을 많이 전파하여 널리 퍼지게 하니 그러므로 예수께서 다시는 드러나게 동네에 들어가지 못하시고 오직 바깥 한적한 곳에 계셨으나 사방에서 사람들이 그에게로 나아오더라

영어본문.
40 A man with leprosy came to him and begged him on his knees, “If you are willing, you can make me clean.” 41 Filled with compassion, Jesus reached out his hand and touched the man. “I am willing,” he said. “Be clean!” 42 Immediately the leprosy left him and he was cured. 43 Jesus sent him away at once with a strong warning: 44 “See that you don’t tell this to anyone. But go, show yourself to the priest and offer the sacrifices that Moses commanded for your cleansing, as a testimony to them.” 45 Instead he went out and began to talk freely, spreading the news. As a result, Jesus could no longer enter a town openly but stayed outside in lonely places. Yet the people still came to him from everywhere.

도움말.
불쌍히 여기사(41절). 헬라어 ‘스플랑크니조마이’로서, 애가 타다, 애간장이 녹다 등의 의미다. 예수님이 치유사역을 행하신 근본 동인이다(마 15:32, 20:34, 눅 7:13 등).
모세가 명한 것을 드려 그들에게 입증하라(44절). 나병 치유는 제사장의 검사를 통해 확인되며, 치유를 받은 사람은 감사 예물을 드려야 했다(레 14:1-57).

⬆ 위로 하나님. 예수님은 나병환자를 어떤 마음으로 고쳐주셨는가(41절)?
⬇ 아래로 인간. 나병환자에겐 어떤 믿음이 있었는가(40절)?
? 물어봐. 왜 예수님은 엄히 경고하여 말하지 말라고 명하셨을까(43-44절)?
! 느껴봐. 나는 삶의 문제를 만날 때마다 유일한 답이 되시는 주님 앞에 나아가 꿇어 엎드리는가?
➡ 옆으로 실천해. 내가 주님 앞에 가지고 나아가야 할 문제거리는 무엇인가?

Meditation. 복음이 빠진 신비
나병 환자가 기습적으로 예수님 앞에 나와 무릎 꿇었다. 그를 불쌍히 여기신 예수님은 율법의 정결예법을 거스르고 부정을 자초하신다. 손을 내밀어 나병 환자에게 대시며 ‘깨끗함’을 명하신다. 그러나 그를 돌려보내실 때에는 제사장에게 보여 입증하라고 하신다. 예수님 자신은 율법에 매이지 않으시지만, 그가 당시 유대 공동체의 일원으로 돌아갈 때 있을지 모를 충돌과 장애를 배려하신 것이다. 율법에 대한 자유가 오히려 한 영혼에게 불이익을 가져다주는 굴레가 되는 것은 원치 않으셨다. 또한 예수님은 그에게 엄히 경고하여 아무 말도 하지 말고 전하지 말라고 하신다. 사람들에게 단지 ‘기적 행하는 자’로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으셨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그 사실을 널리 전했고, 이로 인해 예수님은 동네 밖으로 물러나 계셨다.
예수님은 복음이 빠진 신비를 용납하지 않으신다. 예수님께 깨끗함을 받은 그의 몸 된 교회는 지금 어떤 모습인가? 복음이 빠진 신비만을 추구하고 있지는 않는가? 또한 당신은 어떠한가? 복음으로 다시 돌아가기 위해 당신이 변화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적당한 음주는 비신앙적인 것은 아니지만 신앙이 깊어질수록 금주를 하게 될까?

성서의 술에 대한 시선들<이민규 교수>.
2014년 1월 6일 오전 4:54

적당한 음주는 비신앙적인 것은 아니지만 신앙이 깊어질수록 금주를 하게 될까?

건전한 음주문화는 하나님의 선물- 성서의 술에 대한 시선들

성서는 음주에 대해 어떻게 말하나?

성서에 나타난 술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을 연구하면서, 음주에 대한 성서의 시각이 필자가 생각한 것보다 매우 긍정적이라는 점에 깜짝 놀랐다. 물론 이는 성서에는 술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이 긍정적인 것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필자의 선입견 때문이었다. 기본적으로 성서는, 음주란 하나님이 주시는 인생의 크나큰 즐거움이고, 풍성하고 넘치는 술이야말로 하나님의 복이라고 말하고 있다. 오히려 술이 없는 것이야말로 하나님의 심판에 따른 재앙이다. 성서는 음주에 대한 폐단을 엄중히 비판하면서 건전한 음주문화를 추구한다. 성서에서 음주는 인생을 즐기기 위한 도구로 묘사된다.

구약성서에서는 유대인들의 구원의 때에 도래할 하나님 나라를 최상급 포도주가 차고 넘쳐나는 잔치로 이해했으며, 초대교회에서는 예배 때 예수님의 피를 상징하는 차원에서 포도주를 마시던 풍습이 생겼다. 이를 통해 술에 대한 초대교회의 열린 마음을 볼 수 있다. 성서에서 음주는 하나님의 주신 선물로 삶의 큰 즐거움이며 괴로움을 잊게 한다. 노아가 방주에서 나와 처음으로 한 행위도 포도나무를 심은 것이었고 예수님의 첫 기적도 포도주를 넘치도록 풍성하게 만드신 것이었다. 그러나 성서는 음주의 위험에 대하여도 잘 인식하고 있고 잘못된 음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엄중하게 경고한다. 성서의 술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그러나 어느 문화와 마찬가지로 지나친 음주에 따른 만취한 행동에 대한 것이지 결코 다른 보편적인 문화에 비해 특별하게 부정적이진 않다. 성서에서 술이란 잘 마시면 즐거움이고 과하면 독이 된다는 입장이다.성서 속의 음주문화

성서의 음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사실 고대 이스라엘과 로마 사회가 오늘날 식사 때마다 포도주와 맥주를 일상적인 음료수처럼 마시는 프랑스나 독일 문화와 유사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수님이 식사 때 제자들과 포도주를 일상적으로 마시던 것도 술 문화가 아니라 음식문화의 차원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스라엘 문화에서는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포도주를 마셨다. 평소에는 포도주를 물로 수 십 배 희석해서 음료처럼 마셨는데 잔치 때는 희석하지 않은 포도주를 마셨다. 성인들은 주로 묵은 포도주를 선호했다. 알코올 도수가 높지 않았지만 새 포도주로도 충분히 취할 수 있었다.(사 49:26 ; 호 4:1 ; 행 2:13 참조, 삿 9:13 참조, 사 65:8; 미 6:15) 쿰란 공동체는 새 포도주를 음료처럼 즐겼다.(1QS 6:4-6; 1QSa 2:17-18, 20; 1QH 10:24) 로마인들도 매일 포도주를 음료로 마셨다.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건네받은 마실 것(막 15:36)인 신 포도주(포도 초)는 심한 갈증을 장시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는 음료로 로마 군인들이 일상적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마시던 것이었다.

사실 지나친 음주로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들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증류주가 나온 이후부터이다. 그때부터 술은 마치 허가된 마약처럼 사용되어 수많은 이들이 알코올 의존증에 빠져 삶이 파탄 나고 목숨을 잃기도 했다. 그러나 증류주를 아직 만들지 못했고 지독하게 더운 열대 문화인 이스라엘에서 술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는 빈도는 추운 겨울기간이 긴 북방계 문화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그렇다고 음주로 인한 문제가 그곳에서는 없었다는 말이 아니다. 단지 음주에 대한 긍정적인 성서의 태도는 당시 음주의 문제가 오늘처럼 심각하지 않은 상황이었다는 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말이며, 오늘날 우리 사회에는 오히려 성서에서 말하는 술 취함의 폐단에 대한 경고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본다.

성서에서 ‘술’은 포도주와 독주를 말한다. 어떤 이들은 성서의 포도주를 포도 주스라고 믿고 싶어 한다. 그러나 성서는 발효되지 않은 음료를 포도주라 부른 적이 없다. 포도주는 항상 알코올이 함유된 ‘술’이었다.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예수가 물을 포도주로 변하게 만든 기적을 행했을 때에 잔치를 맡은 사람은 “누구든지 먼저 좋은 포도주를 내놓고, 손님들이 취한 뒤에 덜 좋은 것을 내놓는데, 그대는 이렇게 좋은 포도주를 지금까지 남겨 두었구려!”(요 2:10)라고 말했다. 이 점은 예수 당시의 포도주는 알코올이 포함된 발효된 술이었다는 점을 알려준다. 사실 냉장고가 없던 중동 지역에 포도즙은 반나절만 지나면 발효가 시작되기 때문에 발효되지 않은 포도 주스를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포도주로 번역한 “오이노스”라는 말은 사실, 포도 이외에도 건포도(b.B. Bat. 97b), 석류(아 8:2), 사과, 야자, 꿀 허브, 무화과 등으로 만든 술을 의미한다. 즉, 포도주라기보다는 과실주를 통틀어 부르는 명칭이지만 그래도 그 중 포도주가 가장 대중적이었다. 독주는 히브리어 “세카르”, 그리스어로 “시케라”에 대한 번역으로 보리를 발효시켜 만든 맥주와 유사한 것으로(잠 20:1; 사 24:9) 취하게 하는 술이었다.(사 28:7-8; 29:9; 참고 삼상 1:15) 맥주는 BC 3500년 전부터 바빌로니아와 이집트인들이 만들기 시작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보리 빵을 걸쭉하게 갈아 물에 넣어 자연 발효시켜서 맥주를 만들었는데 약으로도 사용했다. 당시 의사가 처방한 700종의 약 중에 100종이 이 맥주였다. 마치 바울이 디모데의 위장병에 포도주를 약으로 처방한 것을 상기시킨다. 바빌로니아인들은 보리즙을 토기 그릇에 담아 발효시키고 탄산가스가 빠져나가도록 하여 맥주를 마셨다. 신약 시대에 로마와 유대문화에는 다양한 종류의 맥주(독주)들이 있었다.문제는 술에 대한 남용이다

금주는 일반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율법에 따른 종교적 정결성을 위해 때론 지켜야만 했다. 예를 들어 다니엘과 세 친구들은 왕의 포도주를 마시길 거부했는데, 이는 이방인의 제사 때 바쳐진 것이었기 때문이다.(단 1:8-16) 레갑 족속도 도시문화를 거부하고 이스라엘 민족의 고유한 전통을 지켜나가기 위한 차원에서 유목민 생활을 하느라 집을 짓지 않고 살았으며 포도주도 금했다.(렘 35:1-19) 나실인은 금욕적 차원에서 포도주와 독주뿐만 아니라 포도나무에서 난 것은 모두 금했다.(민 6:1-4; 삿 13:4-5, 7, 14; 참조 암 2:11-12) 세례 요한이 포도주를 마시지 않은 것은 그가 나실인이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마 11:18 병행구 눅 7:33) 그러나 예수와 그 제자들, 그리고 초대교회에서는 포도주를 당시의 음식문화의 일부로서 일상적으로 적절하게 누렸다.

1) 성서의 술 취함에 대한 부정적 견해

성서는 술에 취하는 것을 비판한다.(삼상 1:14렘 13:13; 겔 23:33, 눅 21:34; 롬 13:13; 갈 5:21, 벧전 4:31) 모세의 율법은 사형에 마땅한 패륜아의 특징으로 술 취함을 제시한다.(신 21:20-21) 술 취함은 성적 타락과 매춘, 부도덕에 종종 연관된다.(노아의 경우 창 9:20-27, 롯의 경우 창 19:30-38; 암 2:8; 합 2:15) 성서는 술의 남용에 대하여 강하게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포도주는 사람을 거만하게 만들고, 독한 술은 사람을 소란스럽게 만든다. 이것에 빠지는 사람은 누구든지 지혜롭지 않다. (잠 20:1) 술은 경제적인 가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향락을 좋아하는 사람은 가난하게 되고, 술과 기름을 좋아하는 사람도 부자가 되지 못한다” (잠 21:7) 술은 재앙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 독한 술을 찾는 사람과, 밤이 늦도록 포도주에 얼이 빠져 있는 사람에게, 재앙이 닥친다.(사 5:11) 포도주쯤은 말로 마시고, 온갖 독한 술을 섞어 마시고도 끄떡도 하지 않는 자들에게, 재앙이 닥친다.(사 5:22)술 취한 자, 에브라임의 교만한 면류관인 너 사마리아야, 너에게 재앙이 닥칠 것이다. 술에 빠진 주정꾼의 도성, 기름진 평야의 높은 언덕에, 화려한 왕관처럼 우뚝 솟은 사마리아야, 시들어 가는 꽃 같은 너에게 재앙이 닥칠 것이다. (사 28:1)이외에도 이사야 28장 7절, 29장 9절, 56장 12절과 예레미야 23장 9절과 51장 7절, 요엘 3장 3절 등에서 술의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특히 지도자가 술에 빠지는 것은 치명적이다. 잠언은 왕에게 독주를 멀리할 것이 권고하고(잠 31:4-5), 술을 탐하는 지도자는 질책을 받아 마땅하다(사 56:11-12)고 말한다. 임금과 대신들이 밤새 술에 취해 제정신이 없는 동안에 반역을 꽤하는 자들이 모반을 꾸밀 수 있다.(호 7:5) 이사야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직무를 제대로 보지 못하는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을 비난했다.(사 28:7)

음주가 보다 보편적이었던 로마문화까지 그 독자층이 넓어진 신약에서 음주의 문제에 대한 경고는 더욱 강화된다. 에베소서는 술 취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다.

술에 취하지 마십시오. 거기에는 방탕이 따릅니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으십시오. (엡 5:18) 또한, 술을 탐닉하는 자는 교회 감독이나 집사가 될 수 없다.(딤전 3:3, 8; 디도 1:7) 여기서 우리는 디모데전서 3장 3절의 우리말 번역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난폭하지 아니하고 너그러우며, 다투지 아니하며, 돈을 사랑하지 아니하며 (딤전 3:3) 여기서 “술을 즐기지 않으며”는 정확한 번역이 아닌 듯하다. 본문의 헬라어 “파로이노스”는 “술을 즐기는 자”라는 넓은 개념보다는(단순히 술을 무리 없이 즐기는 정도가 아닌) “술고래, 술주정뱅이, 모주꾼”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술주정을 하지 않고”로 번역해야 할 것이다.(딛 1:7도 마찬가지다)

젊은 여인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하는 나이 많은 여인들은 술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이 나이 많은 여자들도, 행실이 거룩하고, 헐뜯지 아니하고, 과도한 술의 노예가 아니고, 좋은 것을 가르치는 사람이 되게 하십시오. (딛 2:3) 요한계시록은 특히 포도주를 하나님의 진노나 부도덕의 은유로 사용한다.(계 14:8, 10; 16:19; 17:2; 18:3) 복음서에서 예수님도 술 취함이 육신에 속한 생활이며 구원에 위협적이라 경고한다.(눅 21:34) 마태는 비유에서 술 취해 방탕한 생활을 한 종은 천국에서 쫓겨나게 되는 내용을 담는다.(마 24:45-51; 병행구 눅 12:42-48)2) 성서의 술에 대한 중립적 혹은 긍정적인 표현들

포도주는 오래전부터 유대인들이 당시 즐겨 마시던 대중적인 술이었다. 멜기세덱은 아브라함에게 포도주를 주며 복을 빌어 준다.그 때에 살렘 왕 멜기세덱은 빵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다. 그는 가장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다. 그는 아브람에게 복을 빌어 주었다. “천지의 주재, 가장 높으신 하나님, 아브람에게 복을 내려 주십시오. (창 14:18-19)구약에서 제사예배가 한 성소로 집중되면서(신 12), 이제 십일조로 제물을 바친 사람이 자신의 제물을 먹을 수 있게 명령받았다. 이때 하나님 앞에서 포도주든 독주든 마음껏 즐기는 것은 하나님의 명령이자 복이다.소든지 양이든지 포도주든지 독한 술이든지, 어떤 것이든지 먹고 싶은 것을 사서, 주 당신들의 하나님 앞에서 당신들과 당신들의 온 가족이 함께 먹으면서 즐거워하십시오. (신 14:26)시편 기자는 하나님을 향한 기쁨이 포도주가 풍성할 때보다 더 크다고 한다. 주님께서 내 마음에 안겨 주신 기쁨은 햇곡식과 새 포도주가 풍성할 때에 누리는 기쁨보다 더 큽니다. (시 4:7)이는 포도주의 기쁨이 크다는 것을 전제한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이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하려고 포도주를 창조하신 것을 찬양한다.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포도주를 주시고 (시 104:15)하나님은 인간을 풍요롭게 살게 하려고 은과 금뿐만 아니라 기름과 포도주를 넉넉하게 공급하신다.(호 2:8) 자신의 재물로 하나님을 경외하면 하나님은 복을 주셔서 “창고가 가득 차고, 너의 포도주 통에 햇포도주가 넘칠 것”(잠 3:10)이라고 말씀하신다. 아가서에서 솔로몬은 사랑하는 여인과의 입맞춤이 포도주보다 달콤하다고 찬미한다.(1:2, 7:9) 사랑은 포도주보다 솔로몬을 즐겁게 한다.(4:10) 느헤미아는 아닥사스닥 왕의 술을 관리하는 고위 공무원이었다. 이는 술의 질과 독을 감별하기 위해 당연히 술을 시음해야만 하는 직업이었다. 아닥사스다 왕 이십년 니산월에 나는 왕에게 술을 따르는 일을 맡았다. 왕에게 술을 따라 드리는 어느 날… (느 2:1)나라를 구한 에스더는 왕과 함께 연회에서 술을 마셨다. 함께 술을 마시다가, 왕은 또다시 에스더에게 물었다. (에 5:6) 왕과 하만은 에스더 왕후가 차린 잔치에 함께 갔다. 둘째 날에도 술을 마시면서 왕이 물었다. (에7:1-2) 당대의 의인 욥도 가족들과 포도주를 마셨다. 하루는, 욥의 아들과 딸들이 맏아들의 집에서 음식을 먹으며, 포도주를 마시고 있는데 (욥 1:13). 다니엘도 평상시에는 포도주를 즐겼다.(단 10:3) 포도주가 모자라거나 사라지는 것은 하나님의 심판으로 재난이다.(신 28:30; 사 16:10; 24:11; 65:21 렘 48:33, 애 2:12; 호 2:9; 엘 1:10; 학 2:16, 비교 사 55:1; 렘 31:12; 슥 9:17) 언젠가 하나님은 모든 민족을 시온 산으로 부르시어 오래된 잘 익은 포도주로 잔치를 베푸실 것이다.(사 25:6)만군의 주님께서 이 세상 모든 민족을 여기 시온 산으로 부르셔서, 풍성한 잔치를 베푸실 것이다. 기름진 것들과 오래된 포도주, 제일 좋은 살코기와 잘 익은 포도주로 잔치를 베푸실 것이다. (사 25:6)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예수님의 비유는 기독교가 포도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없음을 보여준다.(마 9:14-17) 요한복음은 하나님은 포도원지기로 소개한다.(요 15) 바울은 디모데에게 위장병을 치료하기 위해 포도주를 마실 것을 권고한다.(딤전 5:23)포도주와 가나의 혼인 잔치

성서에서 예수님이 행한 첫 번째 기적은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물을 포도주로 바꾼 것이었다. 6개의 돌 항아리에 가득 채운 물의 양은 대략 360-540리터 사이였다. 예수님은 왜 이렇게 필요 이상의 많은 양의 포도주를 만들었을까? 구약과 유대문헌에서 풍성한 포도주는 다가올 구원의 시대에 대한 복이다.(렘 31:12; 욜 3:18; 암 9:13-14; 2 Apc, Bar, 29:5; Sib. Or. 2, 317-18; 3.620-23, 744-49) 넘치는 포도주는 메시아의 도래 때 유다 지파가 받을 복과 관련 있다. 메시아가 오시면 사람들은 포도주로 옷을 빨 정도로 포도주는 흔한 술이 된다. 포도주를 마음껏 마실 수 있게 되어 눈이 붉어질 정도다.(창 49:11-12) 낙원이 회복될 때는 산들이 단 포도주를 흘릴 것인데(욜 3:18절), 그 양이 어찌나 많은지 작은 산들은 포도주에 녹아버릴 것이다.(암 9:18)

로마서 14장은 믿음이 약한 형제를 위해 고기와 포도주를 포기해야 하는 것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본문은 기본적으로 우상숭배에 드려진 고기와 포도주에 관한 내용이지 음주 자체에 대한 논의는 아니다. 성도는 화평하고 덕을 세우도록 힘을 써야 하기에(롬 14:19), 우상의 제물을 먹는 것을 거리끼는 형제나 자매를 시험들게 하는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는 것이다.(롬 14:21)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한 권리가 상대에 대한 강요가 되어서는 안 된다. 내가 우상에게 바쳐진 고기와 포도주를 먹고 마실 자유가 있다고 해도 이웃을 시험들게 하고 해를 끼치는 것은 덕스럽지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21절) 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결코 다른 이의 고집 때문에 하나님이 주신 자유를 포기하는 방향으로 몰고 가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22절) 만일 그렇다면 세상에 할 수 있는 것이 정말 아무 것도 없게 된다. 특정한 음식을 먹고 자기 취향의 옷을 입는 것이나 커피나 차를 마시는 것도 말이다. 항상 어떤 이유든 반대하는 사람이 있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바울의 처방은 단지 율법주의자들과의 타협을 거부하는 갈라디아서 2장 11-14절의 상황과 달리 율법주의적인 믿음을 가진 자들의 믿음이 너무나 연약한고로 그들의 실족을 막기 위한 대응이었을 뿐이다.닫는 글

한국 사회는 오늘날 과하고 왜곡된 술 문화 때문에 말할 수 없는 피해를 보고 있다. 술만 덜 마신다면 개인과 가정파탄도 줄어들 것이며, 성적 타락도 덜할 것 같다. 우리 문화에서 손님을 접대하면 당연히 술이 나오고, 술을 마시면 갈 데까지 마신다. 처음엔 한 잔만 하자고 하지만 한 잔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권하는 사람이나 마시는 사람 서로가 잘 알고 있다. 거리의 어디를 가더라도 유흥업소가 넘쳐나는 이런 나라가 세상에 어디 있을까 싶다. 한국 문화에서 쾌락과 방탕, 성적 타락을 조장하는 문화에 술이 한 몫 한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 사회의 술 소비는 지금보다 훨씬 더 줄여야 하고 건전하지 못한 방탕한 음주문화는 몰아내야 한다.

그러나 증류주가 없었던 성서시대의 문화에서 오늘날과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를 발생시키는 독주는 존재하지 않았다. 성서에서 술은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고 넘치는 포도주는 순종하는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복이다. 넘치는 포도주는 메시아 잔치의 위대함을 상징하며, 완성될 낙원은 포도주가 넘치는 곳으로 소개될 정도이다. 그래서 예수님의 첫 기적은 물을 포도주로 바꾸어 차고 넘치게 만든 것이었다. 세례 요한이 금주를 했던 것과 달리 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 늘 잔치에 참여하시며 술을 드셨다.

성서에서 술은 인생을 즐겁게 살라고 주신 하나님의 선물이다. 물론 마시지 않을 자유도 있다. 적당하고 건전한 수준으로 즐길 때 술은 좋은 것이다. 그러나 과유불급. 좋은 것이라도 과하면 위험이 따르는 법이다. 성서는 술이 과할 때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에 대하여 지혜로운 경고를 한다. 성서는 과도한 음주가 마약과 같은 쾌락, 무절제, 방탕과 음란으로 흘러 죄의 빌미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 절제된 음주는 하나님이 주신 복이지만 절제되지 못할 때 술은 백해무익한 것이 된다. 결국 술이 잘못이 아니라 술을 대하는 사람이 문제다. 그러나 오늘날 지나친 음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애주가들 때문에 건전한 음주가까지 죄인 취급하거나 음주를 경건하지 못한 신앙인의 잘못된 행동으로 보고 정죄하는 것은 바리새주의의 시각이지 예수님의 시각은 아니다. 잘못된 술 문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근거로 금주를 주장하는 것은 성서를 넘어선 시각이다. 이제 우리 기독교는 성서의 주장을 넘어선 금주를 주장할 것이 아니라, 방탕한 술 문화를 몰아내고 건전한 음주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민규 l 교수는 영국 쉐필드대학교(University of Sheffield)에서 신약학 전공으로 박사학위(Ph. D.)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성서대학교 성서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나의 아버지와 그의 친구들은 대부분이 어부였다. 어릴적에 여러번 봐왔지만, 술은 그들을 삶을 책임지려는 건전한 인간에서 통제불능의 동물로 만들곤했다. 요즘 드는 생각은 비단 술만 이었겠나 싶다! 사람이 술을 먹고, 나중에는 술이 술을, 술이 사람을 먹는다고 했던가,
조절하고 싶어도, 거절하고 싶어도 안되는 일들에 대해 항변하는 술끝에 고래고래 그들의 넋두리를 들은 기억이 새롭다.
주님이 물을 포도주로 바꾸어 그 잔치에 주인이 주님인 것을 미리 보여주셨던 것처럼, 그의 나라에는 술을 먹고도 속쓰림이 없었으면 한다.
<난 마시지도 않았는데 왠 넋뚜리!ㅋ>